본문 바로가기
노동자 권리찾기

야근수당 제대로 알고 받읍시다!

by 인천학스 2023. 3. 20.

야근수당 제대로 알고 받아야 합니다!!

 

야근수당은 일반적으로 기본근로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한 시간에 대해 추가적인 임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야근수당은 각 국가 및 회사의 법령 및 정책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귀하가 속한 국가 및 회사의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야근수당은 기본근로시간에 비해 높은 임금을 받습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기본근로시간은 일반 임금의 1.5배 이상을 받습니다. 그러나 근무 시간, 기간 및 지불 기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아래는 야근수당을 계산하는 간단한 예시입니다.

 

야근수당 계산 공식

야근수당 = 야간근로시간 x 시간당 임금 x 야근수당율

예시

근무 기간: 월요일 ~ 금요일, 40시간

야간근로시간: 월요일 ~ 금요일, 18:00 ~ 22:00 (20시간)

시간당 임금: 10,000

야근수당율: 1.5

야근수당 = 20시간 x 10,000x 1.5 = 300,000

위의 예시는 간단한 예시이며, 각 국가 및 회사의 정책에 따라 야근수당이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귀하가 속한 국가 및 회사의 정책을 확인하고, 야근수당을 계산할 때 해당 정책을 적용해야 합니다.

 

 

 

계약직도 야근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계약직 근로자도 야근을 하여 야근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근로계약서나 근로기준법 등 근로관련 법령에서 야간근로에 대한 규정이 있으며, 이에 따라 야근수당을 지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야근수당이 지급되는 시간, 기준, 액수 등은 계약서나 회사의 정책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근로자는 근로계약서나 회사의 규정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야근수당에 대한 권리를 주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국가에 따라 야근수당 지급여부 및 금액이 다르기 때문에, 귀하가 속한 국가의 관련 법령 및 정책을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야근수당도 세금을 내나요?

 

일반적으로 야근수당도 일반 임금과 마찬가지로 세금이 부과됩니다. 야근수당은 근로소득에 해당하며, 국가의 규정에 따라 소득세, 건강보험료, 국민연금 등의 세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세금 부과 여부 및 세율은 귀하가 속한 국가의 법령 및 세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야근수당을 지급받을 경우, 귀하가 속한 국가의 관련 법령 및 규정을 확인하고 세금 부과 여부와 세율 등에 대해 충분히 파악해야 합니다.

 

또한, 일부 국가에서는 야근수당에 대해 특별한 세액공제나 감면 혜택을 부여하기도 합니다. 이 경우에도 귀하가 속한 국가의 관련 법령을 확인하여 자신에게 해당하는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야근수당 계산방법!!

 

초과근무수당은 기본근무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한 시간에 대해 추가적인 임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초과근무수당을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급 계산: 초과근무수당은 기본급에 일정한 비율을 곱하여 계산되므로, 먼저 기본급을 계산해야 합니다. 기본급은 일반적으로 시급 또는 월급으로 계산됩니다.

초과근무시간 계산: 다음으로 초과근무시간을 계산합니다. 초과근무시간은 일반적으로 기본근무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한 시간을 의미합니다.

초과근무수당 계산: 초과근무수당은 일반적으로 기본급에 일정한 비율을 곱하여 계산됩니다. 초과근무수당의 비율은 국가, 산업, 회사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시간당 1.5배 이상이 지급됩니다.

따라서, 초과근무수당은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계산됩니다.

 

초과근무수당 = 초과근무시간 x (기본급 x 초과근무수당비율)

 

예를 들어, 기본급이 1시간당 10,000원이고, 초과근무시간이 2시간이며, 초과근무수당비율이 1.5배인 경우,

 

초과근무수당 = 2 x (10,000x 1.5) = 30,000

 

이렇게 초과근무시간과 초과근무수당비율을 고려하여 초과근무수당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노동자 권리찾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금 중간정산?  (0) 2023.04.01
회사를 그만두기 전에꼭 알아야할 노동법2  (0) 2023.04.01
직장생활이란....^^  (1) 2023.03.12
2023년 초과근무 수당 계산법  (0) 2023.03.12
노동자 파견  (1) 2023.03.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