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94

산재 은폐는 큰 범죄입니다. 신고하세요! -> 사업주가 산재 보고를 하지 않으면 산재 은폐입니다. •사업주는산재가발생하면,의무적으로발생사실및원인등을기록하여보존해야하며,그즉시노동부에산재보고를해야합니다. • 노동자와의 공상 처리, 근로복지공단에 산재 신 청. 산재 보상 처리 유무와 무관하게, 사업주는 노 동부 산재예방지도과에 산재 사실을 꼭 보고해야 합니다. ※산재 보고를 하지 않을 경우, 고의적으로 산재 사 실을 은폐한 것으로 보고,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 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합니다. • 처벌대상 :산재사실을은폐한자,은폐하도록시킨자(교사자),은폐를공모한자,중대재해발생현장을훼손하거나노동부조사를방해한자. ->산재 보고 시기와 은폐시 처벌 기준(산업안전보건법 제54조, 제57조) 구분 보고 시기 은폐 처벌 규정 중대재해, 사망자 발생 발생 즉.. 2023. 2. 26.
산업재해 일 때문에 다쳤거나 아프다면, 당연히 보상받아야 합니다. 이를위해1인이상노동자를고용하는모든회사는의무적으로산업재해보상보험에가입해야합니다. 눈치보지말고산재보험신청하세요! 일하다가 다쳤나요? 산업재해 "보상" 신청하세요! ->산업재해(산재)가 뭔가요? 일하다가다쳤거나,또는일때문에질병이발생한경우,나아가장애가발생하거나사망한경우를'산업재해'혹은'업무상재해라고합니다. • 사고성 재해 : 일하는 도중에 부상 또는 사망하는 경우 • 직업성 질병 : 일정한 작업에 오래 종사하여 그 직 업에 따른 유해한 작업환경이나 작업자세 등으로 서서히 발생하는질병 ->산재보상은잘잘못을따지지않고보상합니다(무과실책임주의) 산재 보상은 재해 발생에 있어 노동자나 사용자의 잘못이 있건 없건, 잘못이 크건 작건 업무와 재 해가 서로 인과관계가 .. 2023. 2. 26.
연장, 야간, 휴일 근무를 하면 초과근무수당을 받아야 합니다. -> 초과근무 발생 요건 •연장노동:1일8시간을초과하거나1주40시간을초과 •야간노동:밤10시부터오전6시 •휴일노동:주휴일,노동절,법정공휴일또는약정휴일 ※5인이상사업장이어야하며,임신중이거나출산후1년이지나지않은여성노동자는 원칙적으로야간노동을할수없습니다. ->초과근무수당(근로기준법제56조) 시급(통상임금)의50%를추가로지급하되,연장,휴일노동과야간노동이동시에이뤄질때는중복해서받아야합니다. 단,휴일근로의경우초과근무수당은다음과같이지급해야합니다(근로기준법제56조2항) 1. 8시간 이내의 휴일근로:통상임금의 50% 2.8시간을초과한휴일근로:통상임금의100% ※초과근무 수당을 지급하지 않을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합니다. Q&A 1. 추석 당일에도 출근해서 일했습니다. 당연히 휴일수당을 .. 2023. 2. 24.
노동시간, 휴식제도 OECD 최장노동시간으로 손꼽히는 대한민국!! •겨우 1주 52시간으로 바꿔나 싶더니. 정부와 국회는 또다시 탄력적 근로시간제단위기간확대로 과로노동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노동조합이 막아내야 합니다. 노동자 스스로 쉴 권리를 지켜야 합니다. 우리 노동법 이 정한 노동시간과 쉴 권리를 살펴보아요. 노동시간-유급:휴게시간-무급, 공짜노동은 NO!! ->법으로 정한 노동시간 •일반적인 성인노동자:하루 8시간, 1주 40시간(근로기준법제 50조) • 연소노동자(15세 이상 18세 미만) : 하루 7시간, 1주 35시간(근로기준법제 64조) ※이를 어길 경우,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합니다. •유해위험작업종사자:하루 6시간, 1주 34시간(산업안전보건법 139조) ※ 이를 어길 경우, 3.. 2023. 2. 23.